대충벌레 블로그
728x90
반응형

무료로 공부할려면 https://wikidocs.net/2 이 사이트를 이용하자

 

파이썬은 대소문자구분해서 사용한다.

 

변수 생성 count  = 1 COUNT = 2 는 다른변수 이다.

변수 값 대입 시 number = 1 flag = True  char='X' 를 설정시 자동으로 자료형이 정해짐

 

파이썬에서 주석 처리할때는 # 을 이용 

여러줄 주석시에는 """ """ 삼중 따옴표를 이용한다.

<python />
""" 여러줄 주석입니다 """

자료형에는 정수 , 실수 , 복소수, 문자열(한,영) , 리스트 , 튜플 ,사전등이 있다

<python />
data=1 # 정수 data2 = 1.5 # 실수 data3 = 1+7j # 복소수 data4 = '대충벌레' # 문자열 data5 = [1,2,3] # 리스트 data6 = (1,2,3) # 튜플 data7 = {0:"대충",1:"벌레"} # 사전

 

print는 인자로 입력된 값을 출력한다

ex) a= 20         print(a)     20이 출력됨.

<python />
a = 20 print(a)  #   20이 출력됨.

 

파이썬은 다른 언어와 달리 {} 로 코드를 구분하기 않고 들여쓰기대신

그래서 들여쓰기가 가장 중요!!

<python />
a = 20 if a == 20: print('a는 20입니다.')

    

파이썬 조건문 if~else 

if 조건이 참이면 들여쓰기한 코드를 실행하고 조건이 거짓일떄 else가 있다면 else문을 실행한다

 

<python />
b=1 c=2 if b == c: print('b와 c의 값이 같습니다.') else: print('b와 c의 값이 다릅니다.')

조건이 여러개일때는 if ~elif

여러개의 조건을 순차적으로 체크합니다.

<python />
b=2 c=2 if b > c: print('b가 c 보다 큽니다.') elif b <c: print('b가 c보다 작습니다.') else: print('b와 c의 값이 같습니다..')

 

반복문 for

for문에서 범위로 사용되는것은 반드시 반복가능한 자료

<python />
for 변수 in 범위: 실행코드 ex_for = [1,2,3,4] for i in ex_for: print(i) str1='abcd' for i in str1: print(i) code1 = {'a':97,'b':98} for i in code1: print(i)

for문 반복문을 돌다가 조건에 맞으면 탈출할수도 있고 계속 수행할수도 있음

for ~ continue ~ break

<python />
ex_for = [1,2,3,4] for x in ex_for: print(x) if x<3: continue else: break

출력 결과는 1\n2\n3\n (\n는 줄넘김 한다는 뜻)

또 for문이 정상적으로 수행됐을때 실행하는 코드도 있음

for ~ else

<python />
ex_for = [1,2,3,4] for x in ex_for: print(x) if x<3: continue #else: #break else: print('끝까지 반복됨') # 실행결과 1 2 3 4 끝까지 반복됨

for문과 비슷한 반복문 while문도 있음 

while문은 조건을 만족할때 주로 사용함.

<python />
x = 0 while x < 5: print(x) x += 1 if(x>3): break

 

파이썬에선 다른언어에서 처럼 null 이란 말대신 ? None을 사용함

변수에 자료형을 결정하지않았을때나 함수에서 아무런 값도 리턴하지 않을때 사용함

함수에서 None으로 리턴종료시 함수호출한 쪽에서 실행도중 오류가 발생하였다는것을 알수 있게 합니다.

<python />
a= None if a==None: print('없음')

 

2 진수에는 0b 8진수에는 0o 16진수는 0x로 시작하는 수이다.

<python />
data1=10 # 기본 10진수 data2=0b10 # 2진수 2 data3=0o10 # 8진수 8 data4=0x10 # 16진수 16

a+b의 합을 하고 출력할때 print에 end='' 이것을 추가하면 줄넘김을 하지않는다.

<python />
a=1 b=2 print('a+b의 합:',a+b,end='')

 

연산자 축약 //   True , False

<python />
a += 1 a -= 1 a *= 1 a /= 1 =========== a = True b = False

논리 연산자 and , or , not 

<python />
a = True b = False print(a and b) # False print(a or b) # True print(not a) # False print(not b) # True

시퀀스 자료 인덱싱

인덱싱은 해당하는 자리의 값을 추출? 하는 방법

<python />
str2 = '대충벌레' listbug = [1,2,3,[1,2]] print(str2[2]) # 벌 print(str2[-3]) # 충 print(listbug[1]) # 2 print(listbug[3][0]) # 1

인덱싱이랑 슬라이싱의 차이는 

인덱싱은 해당요소 하나를 가져오지만 슬라이싱은 일정범위에 해당하는 부분을 가져온다.

 

<python />
str3 = '대충벌레' print(str3[0:2]) # 대충 print(str3[2:]) # 벌레 print(str3[:-2]) # 대충 print(str3[-2:]) # 벌레 print(str3[:]) # 대충벌레 print(str3[::2]) # 대벌

시퀀스 자료 연결

자료형이 동일하면 + 연산자로 새로운 시퀀스 자료로 만들수 있음.

<python />
str1='대충하는'; str2= '벌레'; str3 = '나' list_data=['대충','벌레'] print(str1+str2) # 대충하는벌레 print(str1+str3) # 대충하는나 print(list_data[1]+str2) # 벌레벌레

시퀀스 자료 반복

다른언어와 다르게 쉽게 문자를 반복할수 있음

<python />
str1='대충하는'; str2= '벌레'; str3 = '나' print(str1*3)

시퀀스의 자료 크기len으로 나타냄

<python />
print(len(str1)) # 대충하는 4 print(len(str2)) # 벌레 2 print(len(list_data)) # list_data=['대충','벌레'] 2

리스트 혹은 문자열에 어떠한 값이 있는지 체크할려면 in 키워드 사용

<python />
str1='대충하는'; str2= '벌레'; str3 = '나' list_data=['대충','벌레'] test1 = '대충' in str1 print(test1) # True test2 = '대' in list_data print(test2) # False

문자열 포맷팅

값이 변하는 문자열을 표현할때 사용

포맷 문자열은 %s, %c ,%f %d 등이 있으며

%s 는 문자열 %c는 문자 혹은 기호 %f는 실수 %d는 정수에 대응한다.

<python />
text1 = '대충벌레' text2 = '블로그' num1= 2021 num2= 1 print('이 %s 의 이름은 %s %s 입니다'%(text2,text1,text2)) # 이 블로그 의 이름은 대충벌레 블로그 입니다 print('지금은 %d 년 %d월 입니다'%(num1,num2)) # 지금은 2021 년 1월 입니다

리스트 [ ]

파이썬에서 자주 활용 대괄호로 표시하고 튜플과는 다르게 요소값 변경 가능

요소는 [객체: 숫자, 문자 , 문자열 , 리스트, 튜플 ,사전 등 자료형 함수 ,클래스] 가능

<python />
list1=[1,2,3,4] list2=['a','b','c','d']

튜플 ( )

리스트와 비슷하지만 요소의 값 변경 불가

<python />
tuple1 = (1,2,3,4,5) tuple2 = ('a','b','c') tuple3 = (1,) tuple4 = 2,

한개짜리 튜플을 만들때는 쉼표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. 만약 쉼표가 없다면 그건 그냥 int형입니다[숫자일경우]

<python />
type(tuple3) Out[11]: tuple type(tuple4) Out[12]: tuple

쉼표가 없을경우

tuple형이 아니라 int형이 된다.

<python />
test = (1) type(test) Out[13]: int

사전 { } 

사전은 순서가 없기때문에 인덱싱으로 접근 불가 

 

<python />
dict1 = {'key1':'value1','key2':'value2','key3':'value3'} type(dict1) print(dict1) #print(dict1[0]) 사전은 순서가 없다 print(dict1['key1']) # value1 print(len(dict1)) # 3

 

 

 

 

반응형
profile

대충벌레 블로그

@대충벌레

포스팅이 좋았다면 "좋아요❤️" 또는 "구독👍🏻" 해주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