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@ Annotation
- @Configuration : 해당 클래스 파일이 bean 구성 파일임을 알려줌
- @Bean : 해당 메소드가 bean을 생성하는 것을 알려줌
DI(Dependency Injection ) : 의존 주입
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사용할 때 의존(DI)이라 한다.
의존 자동 주입 : 의존 대상을 설정 코드에서 직접 주입하지 않고 스프링이 자동으로 의존하는 bean 객체를 주입하는 기능 @Autowired 와 @Resource 어노테이션 사용
@Qualifier : 자동주입 가능한 bean이 2개 이상인 경우 , 자동 주입 대상 bean을 한정
@Componet
AOP (Aspect Oriendted Programming) : 어떤 로직을 기준으로 핵심적인 관점 , 공통적인 관점으로 나누어서 보고
그 관점을 기준으로 각각 모듈화
MVC 실행 구조
반응형
'IT 기술 > 스프링[Spring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@GetMapping , @PostMapping 등 어노테이션 import 에러 (0) | 2020.12.21 |
---|---|
Eclipse Spring boot JSP 해석 dependency 추가 [스프링 부트 JSP 인식] (0) | 2020.12.11 |
Eclipse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(0) | 2020.12.09 |
스프링3 MVC @어노테이션 기법 프로젝트 생성 (0) | 2020.12.01 |
스프링 STS 설치하기 (0) | 2020.11.23 |